출처: https://jooaoo0819.tistory.com/101 [주리니 탐구방] 적금과 예금 이자 차이와 비교하는 방법(예금이 좋은 이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적금과 예금 이자 차이와 비교하는 방법(예금이 좋은 이유)

by 핫이슈10 2020. 4. 2.
728x90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금 금리가 숫자적으로 높기 때문에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하지만 정기적금의 경우 매 달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돈을 넣어서 목돈을 만드는 경우이기 때문에 목돈이 한 번에 통장에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매 달 모은 돈이 최종적으로 마지막 12개월째에 목돈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12개월로 나누어서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정기예탁보다 금리가 높아도 더 큰 이자를 받을 수 없습니다 .

정기예탁의 경우 목돈을 일정기간동안 가만히 묶어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예를 들어 기간을 1년으로 했다면 정기적금은 통장에 돈이 한 달 한 달 지나면 지날수록 돈이 많아지는 경우로 달달이 돈이 적립되어 커지지만 정기예탁의 경우 첫 달 부터 만기가 되는 1년 동안의 기간에 돈이 그대로 묶여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년 동안 쭉 이자가 쌓인 것 하고, 한 달마다 돈이 쌓여서 쌓인 이자 중 어떤 이자가 더 많을까요 ?

당연히 1 년 동안 쭉 있었던 돈의 이자가 많을 것입니다 .

더 쉽게 숫자를 대입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정기적금 금리 2%

정기예탁금리 2%

-정기적금으로 매달 500,000 원씩 1 년에 6,000,000 원을 만들었을 때 이자가 2% = 65,000 (세금부과 전 기준 )

-정기예탁으로 6,000,000 원을 1 년 묶어두었을 때 이자 2% = 120,000 (세금부과 전 기준 )

같은 2%의 이자일 때 정기예탁이 정기적금보다 이자가 무려 55,000 원이 더 많습니다 .

 

그렇다면 보통 은행이자가 예탁이자보다 정기적금 이자가 높은 편입니다 .

그렇다면 예로 1%의 차이를 들어서 해보겠습니다 .

정기적금 금리 3%

정기예탁 금리 2%

 

-정기적금으로 매달 500,000 원씩 1 년에 6,000,000 원을 만들었을 때 이자가 3% = 97,500 (세금부과 전 기준 )

-정기예탁으로 6,000,000 만원을 1 년 묶어두었을 때 이자 2% = 120,000 (세금부과 전 기준 )

 

정기예탁이 1%의 이자가 더 낮을 때도 22,500 원의 금액을 더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어느 정도 정기적금의 이자가 높아야 똑같은 금액을 만들 때 정기예탁보다 높은 이자일까라는 의문이 들것 같아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

정기적금 3.7%

정기예금 2%

이자율 차이 1.7%

 

정기적금으로 매달 500,000 원씩 1 년에 6,000,000 만원을 만들었을 때 이자가 3.7% = 120,250 (세금부과 전 기준 )

 

정기예탁으로 6,000,000 만원을 1 년 묶어두었을 때 이자 2% = 120,000 (세금부과 전 기준 )

 

무려 정기적금이 정기예금보다 이자율이 1.7% 높아야 고작 이자가 250 원 더 많습니다 .

 

그렇다면 앞으로 적어도 은행에 방문했을 때 정기예탁보다 높은 이자율인 정기적금을 보고 혹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왜냐하면 보통 은행은 특판 혹은 행사 아니고선 정기예탁보다 정기적금의 이자를 더 주진 않기 때문입니다 .

은행은 정기예탁을 통해 얻은 목돈을 가지고 또 다시 굴리고 굴려서 이익을 창출 하는 곳이기 때문에 돈을 나누어서 받는 것 보다는 목돈을 한 번에 맡기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본인이 매달 자동이체를 걸어두고 돈을 모으지 않으면 돈을 모으기 힘든 사람이라면 강제적으로라도 저금을 할 수 있는 정기적금을 추천합니다 .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금리보다는 목돈을 모으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매달 새로운 예금 계좌를 만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본인의 의지가 강한 사람이라면 적금보다는 예금을 매달 할 것을 추천드리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