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jooaoo0819.tistory.com/101 [주리니 탐구방] 4월 창원사랑상품권 할인율과 금액은? - [퇴사 후 절약편]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월 창원사랑상품권 할인율과 금액은? - [퇴사 후 절약편]

by 핫이슈10 2021. 4. 1.
728x90
반응형

 

 


요즘 저는 제로페이, 창원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을 아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10% 할인율이 진짜 크더라구요.
10%는 특별 할인율이 있을 때 하긴 하지만 평소 5% 할인이 되는 것도 무시할 수는 없더라구요.

특히 저는 바로 집 앞에 매일 장을 보는 마트가 창원사랑상품권 지류를 취급하는 곳이라서 10% 할인율이 있을 때는 꼭 구입을 하려고 하는편 입니다.


지난 2021년 3월달은 창원사랑상품권 할인율이 10%, 구매 가능 금액은 1인당 50만원 이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2021년 4월 5일 기준 4월달은 창원사랑 상품권 할인율이 10%, 구매 가능 금액은 1인당 25만원 입니다.

다행히 할인율은 10%로 동일하고, 한도 금액만 50만원에서 -> 25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1년 2월달에도 10%에 25만원이었는데 감사하게도 계속해서 10% 할인율을 주고 있어요.

그래서 또 구매하고, 장 보러 갈 때마다 쓰려고 합니다.
25만원을 구매하게 되면 거기에 10%인 2만 5천원을 할인 받는셈입니다.

요즘 10%이자율을 하는 예,적금 상품이 아무대도 없기 때문에 이렇게 해서라도 혜택을 보는 쪽으로 하고 있어요.



 

 


혹 상품권을 구매하시면 소비가 많아 진다고 하시기도 하는데 그래서 저는 하루 딱 쓸 금액을 생활비 달력에 넣고, 사용을 합니다. 일주일 예산을 생활비 달력에 넣어놓습니다.


 

 

 


그리고 60%까지만 사용하면 거스름돈을 주기 때문에 거스름돈도 생활비 달력에 다시 넣어놓습니다.
그리고 모은 현금으로 또 다시 상품권을 구매합니다.



 

 


그리고 또 상품권 구매시 25만원일 경우 현금 22만 5천원을 주면 25만원의 상품권을 줍니다.
그리고 2만 5천원은 상품권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거기에 넣어둡니다.

그럼 할인을 받은 금액들이 통장으로 확인이 되어서 더 좋은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괜히 얼마나 할인 받았는지도 잘 모르게 오히려 더 돈을 쓰게 되더라구요.

눈으로 확인하면서 이만큼 할인율 혜택을 받았고, 그로 인해서 2만 5천원을 저금 했구나 생각이 들면 뿌듯하기도 하고, 동기부여도 되기도 하더라구요.

 

그래서 상품권을 구매할 때 일부러 50만원을 교환하면 50만원 현금을 갖고 가서 5만원은 자유적금통장에 입금을 하는 것을 추천해요.

그리고 적요에 창원사랑상품권할인 이렇게 적어놓으면 다음에 확인 하실 때 더 뿌듯하실꺼에요.

실제로 그로 인해서 돈을 절약한 것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니까 더 좋은 것 같아요.

 

요즘 식비절약도 많이 하고 있는데 다음에 포스팅 해볼게요!

퇴사 후 절약편도 꽤 많이 나올 것 같아요.

퇴사 후 달라진 것이 정말 많아요.

건강도 관리하고, 자유로운 시간을 가질 수 있지만 그에 반해 절약도 많이 해야 해요.

그래도 퇴사 전과 퇴사 후의 행복도를 비교하자면 퇴사 후의 삶의 행복도가 훨씬 크네요.

아직까지는 퇴사 후의 삶이 훨씬 더 좋아요.

 

생각한다 -> 행동한다-> 지속한다
꿈꾸는 행복한 일들을 행동하는 꿈행이❤️

 

 

godblessyou777.tistory.com/100

3월 창원사랑상품권 10% 할인과 바뀐정책[퇴사후 절약편]

퇴사 후 맞벌이 -> 외벌이가 되었습니다. 아직까지는 큰 타격이 없을 것 같으나 재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절약을 열심히 실천해야 할 생각입니다. 나름 절약도 하다보면 재미가 있

godblessyou777.tistory.com

godblessyou777.tistory.com/125

보건소 무료헬스케어 -퇴사 후 건강관리하기

모바일 헬스케어라고 들어보셨나요!? 저는 B형간염 예방접종을 하러 갔다가 헬스케어 전단지를 보고 ㅂㅋ알게되었어요. 다이어트도 하고, 건강한 몸도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또 제가

godblessyou777.tistory.com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