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8 적금 VS 예금 (적금과 예금 이자 계산 법) 적금개념 적금이란 매달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넣고 만기일에 목돈을 만들어 돈을 타는 방식을 적금이라고 합니다. 예금개념 예금이란 금액을 불입하고 난 뒤 출금 입금이 더 이상 되지 않으며 만기일까지 기다려 원금과 이자를 받는 것글 말합니다. 그런데 보통 시중은행 금리를 보면 예금 금리보다 적금 금리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실제로 받는 이자는 적금이자보다 예금이자가 더 많은 것일까요? 적금 VS 예금 만기시 받는 같은 원금을 두고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적금과 예금 이자 계산법* 적금이자(세금 떼어내기 전 이자로 계산) 한달 60만원씩 X 12개월 = 금리 3% 원금: 720만원 이자: 117,000원 총 금액 : 7,317,000원 예금이자(세금 떼어내기 전 이자로 계산) 1년 7.. 2020. 1. 8. 2020년 연말정산 이해하기(연말정산 뜻, 기간 및 절차) 매년 하는 연말정산,, 하지만 아직도 제대로 연말정산이 무엇이고, 어떻게 하는지 매년 헤매고 계시지는 않으신가요? 저도 매년하지만 아직까지 연말정산을 왜 하는지, 또는 어떻게 하는지 1년에 한 번 하다보니 까먹고 또 까먹는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연말 정산에 대해서 샅샅이 파헤쳐보기로했습니다! 먼저 *연말정산은 무엇인가? 근로자는 매월 월급을 받을 때 원천징수의무자(회사) 가 근로소득간이세액표에 의하여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원천징수 합니다. 그리고 매월 미리 징수한 세금 (기 납부세액)을 서로 비교하여 결정세액이 많으면 추가로 징수시키고, 반대로 기납부세액이 많으면 환급을 주는 절차를 근로소득연말정산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또 이 뜻을 이해하려 연말정산이란 뜻이 무엇이지 알아야 한다. *원천징수란.. 2020. 1. 7. 연금저축공제와 연금보험(차이점,연말정산세액공제) 흔히들 연금 저축공제,연금공제 많이 말하는데 이 두가지의 차이점을 알고 계신가요? 먼저 연금저축공제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핵심적인 것은 매년 연말정산 때 세제 혜택을 본다며 가입을 권하는 공제가 바로 연금저축공제입니다. 그렇다면 연금공제는 세제혜택이 안되나요? 네 안됩니다. 세제혜택을 보려고 가입하시려면 무조건 연금공제가 아닌 연금저축공제를 가입하셔야 합니다. 이름이 비슷해서 많이들 헷갈려서 가입을 하시고 연말에 낭패를 보는 경우들이 많으신데 꼭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또한 연금공제가 비과세가 된다는 이야기를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연금공제는 비과세가 됩니다. 하지만 연금저축공제는 비과세가 안된다는 점을 꼭 아셔야 합니다. 또한 연금저축공제는 일시납(한 번에 돈을 불입하는 것)이 안됩니.. 2020. 1. 6. 핸드폰요금줄이기(통신비절약하기)-헬로모바일 핸드폰 요금 줄이기 고정지출 항목인 핸드폰 요금 다들 핸드폰 요금에 얼마나 많은 돈을 내고 계십니까? 월마다 자동이체로 빠지는 돈이라 어쩔 수 없다고 그냥 묵혀두고 있진 않으십니까? 저도 원래는 한 달에 핸드폰 요금을 약 6-7만원씩 납입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정지출을 아끼지 않으면 적금액을 늘리는게 쉽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첫 번째로 할 수 있는 핸드폰 요금에 대해서 지출을 줄여보고자 했습니다. 제가 원래 사용했던 통신사는 KT였습니다. 하지만 헬로모바일의 KT알뜰요금제를 알고 난 뒤 한 달 요금을 2만원 초반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총 한달에 4만원 가량의 지출을 줄였고 일 년에 총 480,000을 저금할 수 있었다. 정말 몰라서 바꾸지 못했던 요금제.. http://m.cjhellodirect.co.. 2020. 1. 4.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다음